와콤 인튜어스 프로 PTH-660 드라이버 다운로드·설치(실전 디테일+직접 링크)

공식 다운로드 링크 (안전한 설치 시작점)

팁: 검색 광고·파일 공유 링크 대신 반드시 위 공식 링크 사용. 변조본·애드웨어 위험 방지.


설치 전 충돌 제거& 환경 준비 체크리스트 (5분 투자로 1시간 절약)

 

이전 태블릿 드라이버 완전 제거

  • 대상: Huion, XP-Pen, Wacom, Gaomon 등 기존에 사용하던 모든 태블릿 드라이버

  • 방법:

    1.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해당 제조사 드라이버 삭제

    2. 삭제 후 AppData·Program Files 폴더에 남아 있는 관련 폴더도 제거

      • C:\Program Files\ 또는 C:\Program Files (x86)\

      • C:\Users\사용자명\AppData\Roaming\

      •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

    3. 레지스트리 정리(필요 시 CCleaner 등 사용)

    4. 재부팅 필수

  • 참고: Wacom 사용 중 불안정하면 Wacom Tablet Utility를 실행 → Remove 클릭 → 재부팅

USB 연결 안정화

  • 설치 시 USB 허브 사용 금지

  • 태블릿을 PC 본체 뒷면 메인보드 직결 포트에 연결

  • 가능하다면 USB 3.0(파란색 포트) 대신 USB 2.0(검은색 포트) 사용 → 드라이버 인식률 높음

백신 실시간 감시 일시 중지

  • 설치 중 백신 프로그램이 드라이버 파일을 차단할 수 있음

  • 방법: 백신 실시간 감시 기능 끔 → 설치 완료 후 반드시 다시 켬

  • Windows Defender도 실시간 보호를 임시로 꺼두기

    • 설정 → Windows 보안 →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 실시간 보호 끄기

블루투스 페어링 이력 삭제

  • 무선 태블릿 또는 블루투스 모델 설치 시 충돌 방지

  • 방법:

    1. Windows 설정 → Bluetooth & 디바이스 → 디바이스 목록에서 해당 태블릿 또는 비슷한 장치 제거

    2. 설치 완료 후 다시 페어링

노트북 절전 모드 해제

  • 설치 중 절전 진입 시 드라이버 설치 실패 가능성

  • 방법:

    1. 제어판 → 전원 옵션 → 선택한 전원 계획 설정 변경

    2. “컴퓨터 절전 모드로 전환”을 ‘사용 안 함’으로 변경

    3. “디스플레이 끄기” 시간도 충분히 길게(예: 30분 이상) 설정

  • 설치 후 원래 설정으로 복구 가능

이 절차를 지키면 설치 과정이 매끄럽고, 설치 후 인식 불량이나 펜 딜레이 문제가 크게 줄어듭니다.
실제로 설치 전에 5분만 투자해도 문제 해결에 드는 1~2시간을 아낄 수 있어요.


드라이버 다운로드 (운영체제별)

  • Windows 10 / 11

    • 파일 형식: .exe (64비트 전용)

    • 다운로드 후: 바탕화면 또는 설치 전용 폴더에 저장
      → 설치할 때 찾기 쉽고, 중간에 폴더 이동 시 오류 가능성 감소

    • 설치 실행:

      • 다운로드한 .exe 파일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일반 실행 시 일부 서비스가 정상 등록되지 않는 경우 있음)

      • 설치 마법사 안내에 따라 진행

    • 주의:

      • 설치 중에는 백신 실시간 감시를 잠시 끄면 충돌 위험이 줄어듭니다.

  • macOS (벤추라·소노마 기준)

    • 파일 형식: .dmg (디스크 이미지 인스톨러)

    • 다운로드 후: 바탕화면이나 전용 폴더에 저장

    • 설치 실행:

      1. .dmg 파일 더블 클릭 → 디스크 이미지 마운트

      2. 마운트된 창에서 설치 패키지(.pkg) 실행

      3. 설치 도중 보안 경고가 뜨면:
        시스템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허용 클릭

      4. 설치 완료 후 재부팅

    • 주의:

      • 설치 직후 손쉬운 사용·입력 모니터링 권한을 반드시 확인해야 함

      • 일부 macOS 업데이트 후 권한이 초기화될 수 있음

설치 팁 요약

  • Windows → 관리자 권한 실행

  • macOS → .dmg 마운트 후 .pkg 실행 + 보안 허용

  • 설치 후 재부팅은 필수, 그리고 첫 연결은 유선 USB로 진행


첫 연결은 반드시 유선 (USB-C)

  • 드라이버 설치 → 재부팅 → USB-C 연결 순서 준수

    • Wacom 공식 홈페이지에서 해당 모델 전용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및 설치합니다.

    • 드라이버 설치 후 반드시 PC를 재부팅해야 합니다. (재부팅하지 않으면 장치 인식 오류 가능성 높음)

    • 재부팅 후 USB-C 케이블로 장치를 연결합니다.

  • 케이블은 정품 사용 권장

    • Wacom 정품 USB-C 케이블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고품질 케이블을 사용하세요.

    • 충전 전용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PC에서 장치 인식을 못할 수 있습니다.

    • 케이블 불량 시 장치가 간헐적으로 끊기거나 펜 반응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Wacom Desktop Center에서 장치 인식 확인

    • 연결 후 Wacom Desktop Center를 실행하여 연결된 장치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 장치가 표시되지 않으면 케이블, 드라이버, 포트 상태를 다시 점검합니다.


macOS 권한 3종 필수 설정

경로: 시스템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1. 손쉬운 사용 (Accessibility)

    • Wacom 관련 앱(예: Wacom Tablet, Wacom Desktop Center 등)을 체크

    • 앱이 목록에 없으면, 실행 후 다시 확인

  2. 입력 모니터링 (Input Monitoring)

    • Wacom 관련 앱 체크

    • 권한 변경 시, macOS에서 재시작 요청할 수 있음

  3. 블루투스 (Bluetooth) (필요 시)

    • 무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 펜·액세서리 사용 시 해당 앱/장치 허용

주의:

  • 모든 권한을 설정한 뒤 반드시 재부팅해야 적용됨

  • macOS 업데이트 후 일부 권한이 초기화될 수 있어, 업데이트 후 재확인 필요


Windows 서비스 점검

  • Windows + R → services.msc

  • Wacom Professional Service 상태 확인 (중지 시 다시 시작)

  • 장치 관리자에서 HID 장치에 Wacom 표기 여부 확인


펌웨어 업데이트 (유선 연결 필수)

  • Wacom Desktop Center → 장치 선택 → 펌웨어 업데이트

  • 노트북은 어댑터 연결, 데스크톱은 전원 안정 확인

  • 업데이트 중 케이블 분리 금지


펜 압력 곡선·버튼·익스프레스키 세팅

  • 압력 곡선: 스케치·캘리그라피 → 초반 감도↑ / 채색·강필 → 후반 굵기 변화

  • 사이드 버튼: 앞-스포이트 / 뒤-우클릭

  • 익스프레스키: Undo/Redo, 브러시 크기, 패닝, 브러시/지우개 전환

  • 앱별 프로파일: 앱마다 다른 키 매핑 가능


앱별 호환 설정

  • Photoshop: Windows Ink 토글 / 브러시 스무딩 조정

  • Clip Studio Paint: Wintab ↔ Windows Ink 전환

  • Illustrator: 정확한 포인터 위치 옵션 확인


자주 묻는 문제 & 빠른 해결

문제 원인 해법
압력은 되는데 커서 버벅 고주사율 + 구버전 GPU 드라이버 GPU 업데이트 → 주사율 60/120Hz 비교
포토샵 압력 미작동 Windows Ink 충돌 Ink 토글 → 앱 재시작
블루투스 끊김 2.4GHz 혼잡 유선 전환 → 라우터 채널 변경
인식 안 됨 케이블·포트 불량 케이블 교체 → 본체 포트 사용

유지 관리 팁

  • 분기 1회 드라이버 업데이트

  • 펜촉 교체 시점: 긁는 소리·거친 선

  • 표면 시트: 매끈 / 표준 / 거친 중 선택

  • Wacom Tablet Properties → 설정 내보내기 (백업 필수)


블로그 운영 팁 (체류·전환↑)

  • 상단 4문장 요약 + 단계별 캡처

  • “문제→원인→해법” 카드 구성

  • FAQ 스키마 마크업 적용

  • 외부 링크는 공식 페이지만


마지막 한 줄

“충돌 제거 → 권한·서비스 확인 → 유선 인식 → 펌웨어 → 앱별 세팅 저장” 이 5 스텝만 지키면 매번 매끄럽다.


 

Disclaimer: 본 블로그의 정보는 개인의 단순 참고 및 기록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개인적인 조사와 생각을 담은 내용이기에 오류가 있거나 편향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