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가토(Elgato) 캡처 카드는 게임 방송을 즐기거나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게 필수적인 장비로 자리 잡았습니다. 고화질 영상 캡처와 안정적인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해주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처음 장비를 구입하고 나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초기 세팅 과정입니다. 드라이버 설치부터 소프트웨어 연동, 그리고 각종 환경 설정까지 복잡하게 느껴져 막막함을 느끼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 가이드는 그런 분들을 위해 기획되었으며, 엘가토 캡처 카드를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부터 이미 어느 정도 경험이 있지만 설정 과정에서 문제를 겪는 사용자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복잡한 기술 용어나 전문적인 설명을 최소화하고,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단계별 ‘빠른 성공 루틴’을 제공합니다. 이 루트를 그대로 따라가면, 별도의 어려움 없이 약 10분에서 15분 내에 엘가토 캡처 카드의 기본 설정을 완벽히 마칠 수 있습니다.
먼저, 캡처 카드 드라이버 설치 방법과 주의사항을 상세히 설명하며, 그 다음으로는 방송용 소프트웨어인 OBS(Open Broadcaster Software)와의 연동 절차를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OBS 설정 시 주의해야 할 부분과 최적화 팁도 함께 다루어, 최상의 방송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캡처 카드 사용 중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오류를 짚어보고, 이를 간단하고 빠르게 해결하는 방법도 알려드립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엘가토 캡처 카드의 기본적인 설치와 세팅을 마친 뒤에는, 본격적인 게임 방송이나 콘텐츠 제작에 집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고급 기능 활용이나 커스터마이징에도 도전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을 다지게 될 것입니다. 복잡하고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초기 설정 과정을 이 가이드와 함께 차근차근 따라가 보세요. 분명 빠르고 안정적인 세팅 완료로 만족스러운 방송 환경을 갖추실 수 있을 것입니다.
준비물 및 호환성 체크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준비물과 시스템 요구 사항을 확인하세요.
- 장비: Elgato 캡처 카드(HD60 S/S+, HD60 X, 4K60 Pro MK.2 등)
- 케이블: 고품질의 HDMI 2.0 이상 케이블, USB 3.0 이상 케이블 (파란색 USB 포트 권장)
- PC 사양: USB 3.0 포트는 필수이며, 1080p 60fps 송출을 위해서는 i5/Ryzen 5 급 CPU 이상을 권장합니다.
- 콘솔: PS5, Xbox Series X/S, 닌텐도 스위치 등
- HDCP 비활성화: PS4/PS5는 [설정] → [시스템] → [HDMI] → [HDCP 비활성화]를 먼저 해줘야 검은 화면이 뜨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닌텐도 스위치나 PC는 기본적으로 HDCP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드라이버 및 소프트웨어 설치
엘가토 장치들은 전용 소프트웨어인 4K Capture Utility (4KCU)와 함께 드라이버가 설치됩니다.
- 다운로드: 엘가토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해 본인의 캡처 카드 모델을 선택하세요.
- 설치: ‘4K Capture Utility’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윈도우의 경우 드라이버가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macOS에서는 별도의 드라이버 없이 소프트웨어와 플러그인을 통해 인식됩니다.
- 연결 및 확인:
- 4KCU 설치 후 PC를 재부팅합니다.
- 캡처 카드를 PC의 USB 3.0 포트에 연결하고 4KCU를 실행하세요.
- 4KCU에 콘솔/PC의 화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면 드라이버 인식이 완료된 것입니다. 여기서 화면이 보이지 않으면 OBS에서도 잡히지 않습니다.
- 펌웨어 업데이트 알림이 뜨면 진행하고, 업데이트 중에는 장치의 케이블을 분리하지 마세요.
물리 연결 및 패스스루 안정화
안정적인 게임 플레이를 위해 패스스루 연결을 정확하게 세팅해야 합니다.
- 연결 순서:
- 콘솔(PS5) HDMI OUT → 캡처 카드 HDMI IN
- 캡처 카드 HDMI OUT → 모니터/TV
- 캡처 카드 USB 3.0 → PC 본체
- 해상도/프레임: 송출 안정성을 위해 1080p 60fps를 먼저 시도하고, 문제가 없을 시에만 더 높은 해상도를 설정하세요.
- 오디오 설정: 콘솔의 오디오 출력은 HDMI로 고정하고, 파티 채팅 오디오도 헤드셋 외에 스피커로도 출력되도록 설정해야 캡처 카드에 정상적으로 오디오 신호가 전달됩니다.
OBS에 장치 추가 및 기본 세팅
이제 OBS에 캡처 카드를 추가하고 설정을 최적화합니다.
- 소스 추가: OBS 소스 목록에서
+
버튼을 클릭하고 [비디오 캡처 장치]를 선택합니다. - 장치 선택: 새로 만들기를 눌러 장치 목록에서 “Elgato…”로 시작하는 캡처 카드를 선택합니다.
- 해상도/FPS 설정:
- 해상도/초당 프레임 유형: 사용자 지정
- 해상도: 1920×1080
- FPS: 60
- 비디오 형식: NV12 (문제가 있을 경우 YUY2로 변경 테스트)
- 오디오 설정:
- ‘사용자 지정 오디오 장치 사용’에 체크합니다.
- 오디오 장치: “Elgato Audio”를 선택합니다.
주의: OBS 미리보기 화면은 실제 게임 화면보다 약간의 지연이 있습니다. 실시간 게임 플레이는 캡처 카드의 패스스루 모니터로 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오디오 지연(싱크) 보정
OBS에서 화면과 소리의 싱크가 맞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 고급 오디오 속성: OBS 하단의 ‘오디오 믹서’에서 톱니바퀴 아이콘을 누르고 [고급 오디오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 지연 보정: Elgato Audio 항목 옆의 ‘동기화 오프셋(ms)’ 값을 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80ms ~ 250ms 사이에서 조정하면 화면과 소리의 싱크가 맞아떨어집니다.
- 모니터링 설정: 오디오 믹서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 Elgato Audio 소스의 [오디오 모니터링]을 ‘모니터 전용(출력 안 함)’으로 설정하여 하울링(에코) 현상을 방지하세요.
흔한 이슈 10분 컷 진단
- 검은 화면:
- PS5/PS4: HDCP를 비활성화했는지 확인하세요.
- 케이블: HDMI/USB 케이블을 교체하거나 PC의 다른 USB 3.0 포트에 연결해 보세요.
- 해상도: 콘솔의 해상도를 1080p로 낮춘 후 4KCU에서 정상적으로 잡히는지 확인하세요.
- 소리만 나오고 화면 없음: 콘솔/PC의 해상도, 색 형식(YUV/RGB) 설정이 캡처 카드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콘솔 설정을 1080p와 색 범위 ‘표준(제한)’으로 변경해 보세요.
- 잔상/프레임 드랍: OBS의 출력 해상도와 프레임이 소스 설정(1080p 60fps)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윈도우 전원 옵션을 ‘최고 성능’으로 설정하세요. OBS에서 GPU 인코더(NVENC 등)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소리 없음: OBS 소스의 ‘사용자 지정 오디오 장치’가 ‘Elgato Audio’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윈도우 소리 설정에서 입력 장치로 Elgato Audio가 잡혀 있는지 확인하세요.
캡처 품질 최적화 팁
- OBS 녹화/방송 설정:
- 인코더: Nvidia NVENC (신형), AMD AMF, Intel QSV 등 하드웨어 인코더 사용
- 레이트 컨트롤: CQP 18~22(녹화), CBR 20,000~ 30,000kbps (방송)
- OBS 고급 설정: [설정] → [고급]에서 ‘색 형식: NV12’, ‘색 공간: 709’, ‘색 범위: 제한’으로 설정하면 유튜브/트위치와 같은 플랫폼에 최적화된 화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 Q. 드라이버를 따로 못 찾겠어요.
- A. 엘가토 장치 드라이버는 4K Capture Utility에 포함되어 함께 설치됩니다. 별도로 찾을 필요 없이,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4KCU를 설치하면 됩니다.
- Q. OBS에서 장치가 안 보여요.
- A. OBS에 추가하기 전에 4K Capture Utility에서 먼저 영상이 정상적으로 보이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KCU에서 보이지 않는다면 케이블과 USB 포트를 교체해보고, PC를 재부팅해 보세요.
- Q. 소리가 0.2초쯤 늦어요.
- A. OBS ‘고급 오디오 속성’에서 Elgato Audio의 동기화 오프셋 값을 200ms 근처로 조정하여 소리와 화면의 싱크를 맞춰주면 됩니다.
마무리 핵심은 “4K Capture Utility에서 먼저 정상 확인 → OBS에 추가 → 오디오 지연 보정” 이 3단계입니다. 이 루틴만 따라 하면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하고 방송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Disclaimer: 본 블로그의 정보는 개인의 단순 참고 및 기록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개인적인 조사와 생각을 담은 내용이기에 오류가 있거나 편향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