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Colab에서 GPU 할당받는 방법과 제한사항 (2025 최신 기준)

Google Colab에서 GPU를 사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지만, 무료 사용자와 유료 플랜 사용자 간에는 여러 가지 정책과 제한 사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GPU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당받고,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 가이드는 Google Colab에서 GPU를 활성화하는 기본 절차부터 시작해, 무료 플랜과 유료 플랜(Colab Pro, Pro+) 간 차이점, 그리고 작업 도중 세션이 끊기지 않도록 하는 실전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먼저 GPU를 사용하는 방법은 Colab 환경에서 간단한 설정으로 가능합니다. 노트북 상단의 메뉴에서 ‘런타임’ → ‘런타임 유형 변경’ → ‘하드웨어 가속기’에서 GPU를 선택하면, 바로 GPU가 할당된 세션이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때부터는 무료 사용자에게는 사용 시간과 할당량이 제한되며, 사용량이 많을 경우 일시적으로 GPU 자원이 차단되기도 합니다. 반면 유료 플랜은 더 긴 사용 시간, 우선 순위 자원 할당, 더 강력한 GPU 모델 선택 등의 혜택이 주어집니다.

하지만 아무리 유료 플랜이라도 무제한이 아니며, 장시간 연속 실행 시 세션이 종료될 수 있으므로, ‘세션 끊김 방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마다 간단한 명령어를 실행해 세션 유지를 시도하거나, 중간 결과를 자주 저장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데이터와 코드 관리를 위해 GitHub나 Google Drive와의 연동도 권장됩니다.

이외에도 Colab GPU 사용 중 자주 겪는 오류 상황, 예를 들어 ‘런타임 재시작’ 문제, 메모리 부족 현상, 라이브러리 버전 충돌 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도 본 가이드에 포함되어 있어,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다양한 머신러닝 프레임워크별 GPU 최적화 팁과 실습 예제도 함께 제공하여, 초보자부터 중급 사용자까지 모두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가이드를 통해 Google Colab에서 GPU 환경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완벽히 익히실 수 있을 것입니다. 덕분에 복잡한 설정에 시간을 뺏기지 않고, 본격적인 연구와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됩니다.


1. GPU 할당받는 가장 빠른 절차

Google Colab에서 GPU를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런타임 유형 변경’ 메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1. 런타임 유형 변경: Colab 페이지 상단 메뉴에서 런타임런타임 유형 변경을 선택합니다.
  2. 하드웨어 가속기 설정: ‘하드웨어 가속기’ 드롭다운 메뉴에서 GPU를 선택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3. GPU 종류 확인: 새 셀에 !nvidia-smi 또는 import torch; torch.cuda.get_device_name(0)를 입력하면 현재 할당된 GPU의 종류(T4, P100 등)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 하드웨어 가속기를 변경하면 런타임이 재시작되어 기존에 작업했던 모든 변수와 메모리가 초기화됩니다.


2. 무료(Colab Free) vs Pro/Pro+ 차이

Colab은 무료 사용자를 위한 ‘Free’와 유료 구독자인 ‘Pro/Pro+’로 나뉘며, GPU 사용 정책에 차이가 있습니다.

  • Colab Free:
    • GPU 할당 우선순위가 낮아 혼잡 시간대에는 할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세션이 최대 12시간 내외로 제한되며, 유휴 상태일 경우 더 빠르게 종료될 수 있습니다.
    • GPU 종류는 T4, P100 등 중에서 임의로 배정됩니다.
  • Colab Pro/Pro+:
    • GPU 할당 우선순위가 높아 언제든 안정적으로 GPU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더 긴 연속 사용 시간을 보장하며, 고성능 GPU와 높은 RAM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계정별 사용량이 누적되면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나, 무료 플랜보다 훨씬 안정적입니다.

결론: 단발성 테스트나 가벼운 학습에는 Colab Free로 충분하지만, 장시간 대용량 데이터 학습이 필요하다면 Colab Pro 구독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3. GPU가 안 붙을 때 해결 루틴 (5분 컷)

GPU 할당이 안 될 경우, 다음 순서대로 시도해 보세요.

  1. 런타임 유형 재확인: 런타임런타임 유형 변경에서 GPU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합니다.
  2. 런타임 재시작: 런타임런타임 다시 시작을 클릭해 세션을 초기화합니다.
  3. 노트 복제: 파일드라이브에 사본 저장을 통해 새 노트에서 다시 시작하면 GPU가 할당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4. 세션 클린업: 런타임모든 런타임 관리에서 현재 사용 중인 다른 모든 세션을 종료합니다. Colab은 한 번에 여러 GPU 세션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5. 시간대 변경: 혼잡한 시간대(점심, 저녁)를 피해 이른 아침이나 늦은 밤에 재시도해 보세요.

4. 세션 종료를 최소화하는 실전 팁

Colab 세션이 갑자기 끊기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팁입니다.

  • 유휴 상태 방지: 긴 학습 루프를 돌려 세션이 유휴 상태로 인식되지 않도록 합니다. 다만, 의미 없는 반복문은 Colab 정책 위반이 될 수 있습니다.
  • 체크포인트 저장: Google Drive를 마운트하여 학습 중간중간 모델 가중치와 학습 상태를 저장합니다.
    Python

    from google.colab import drive
    drive.mount('/content/drive')
    

    세션이 끊기더라도 마지막 저장 지점부터 학습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관리: GPU 메모리가 부족하다면 배치 사이즈를 줄이거나, 학습 중간에 torch.cuda.empty_cache()를 사용해 메모리를 정리합니다.
  • 혼합 정밀도 사용: torch.cuda.amp.autocast를 활용해 FP16(16비트 부동소수점)으로 연산하면 GPU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고 학습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Disclaimer: 본 블로그의 정보는 개인의 단순 참고 및 기록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개인적인 조사와 생각을 담은 내용이기에 오류가 있거나 편향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