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C 피어링 연결 후 통신이 안 되는 이유: 라우팅 테이블 설정 누락 사례

VPC 피어링(VPC Peering)은 두 AWS VPC를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하여 인스턴스 간에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연결 자체는 쉽게 설정되지만, 피어링 후에도 인스턴스 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장 흔한 이유는 라우팅 테이블 설정의 누락 때문입니다. VPC 피어링은 연결 통로만 제공할 뿐, 이 통로를 통해 트래픽이 이동하도록 양쪽 VPC의 라우팅 경로를 명시적으로 … 더 읽기

프라이빗 서브넷에서 외부로 나가지 못할 때 NAT 게이트웨이 설정 점검법

프라이빗 서브넷(Private Subnet)에 위치한 EC2 인스턴스가 인터넷에 전혀 접속하지 못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해당 서브넷이 인터넷 게이트웨이(Internet Gateway, IGW)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프라이빗 서브넷은 의도적으로 공인 인터넷과의 직접적인 라우팅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따라서 프라이빗 인스턴스가 외부 네트워크(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API 호출 등)로 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NAT 게이트웨이(NAT Gateway) 또는 NAT 인스턴스를 중계 지점으로 … 더 읽기

ALB(로드밸런서) 502/504 오류 실전 대응법

AWS Application Load Balancer(ALB)에서 발생하는 502 Bad Gateway와 504 Gateway Timeout 오류는 사용자가 서버에 정상적으로 접속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장애 코드입니다.이 두 오류는 단순한 HTTP 상태 코드 이상으로, ALB와 백엔드 서버(타겟) 간의 통신 상태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므로, 서비스 가용성(SLA)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1. 오류 정의 및 의미 오류 코드 의미 주요 발생 지점 502 Bad … 더 읽기

GKE에서 Pod이 Pending 상태에 머무르는 문제: 원인 분석 및 체계적 해결 가이드

GKE(Google Kubernetes Engine) 환경에서 Pod을 배포했을 때 상태가 Pending에 오랫동안 머무르며 Running으로 전환되지 않는 현상은, Kubernetes 스케줄러가 해당 Pod을 실행할 적합한 노드(Node)를 찾지 못했거나, 노드를 할당했더라도 컨테이너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다운로드하지 못하거나, 요청한 리소스(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를 확보하지 못했음을 의미합니다. 이 상태는 단순히 “대기 중”이라는 메시지로 표시되지만, 실제로는 클러스터의 리소스 관리, 네트워크 연결성, 이미지 레지스트리 접근, … 더 읽기

EC2 인스턴스가 갑자기 종료된 이유: 스팟/크레딧/상태체크 오류 진단법

AWS EC2 인스턴스가 예고 없이 종료되면, 고객 이탈, 매출 손실, 신뢰 붕괴라는 3중 타격이 순식간에 현실이 됩니다. “왜 갑자기 꺼졌지?” 라는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비즈니스 연속성(BCP)의 핵심 과제입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종료의 근본 원인은 크게 AWS 자체 회수 정책, 성능 저하로 인한 시스템 장애, 사용자 설정 실수로 분류되며, 각각 예측 가능성, 탐지 난이도, 복구 전략이 … 더 읽기

인스턴스 교체 없이 스펙 업그레이드(타입 변경) 시 주의할 점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 중인 인스턴스의 스펙을 업그레이드하거나 다운그레이드하는 인스턴스 타입 변경(Instance Type Change)은 인스턴스를 완전히 새로 생성하지 않고도 CPU 코어 수, 메모리 용량, 네트워크 대역폭, 스토리지 I/O 성능 등 컴퓨팅 자원을 실시간에 가깝게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하고 편리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반드시 인스턴스를 완전히 중지(Stop)한 상태에서만 수행할 수 있으며, 중지 중 EBS … 더 읽기

감정 기복 심한 사람들이 절대 놓치면 안 될 3가지 위험한 식습관 패턴! 지금 당장 당신의 식탁을 점검하세요!

감정의 파도, 식탁을 덮치다 감정 기복, 즉 기분 변화가 심한 상태는 단순히 개인의 심리적 문제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의 가장 기본적이고 일상적인 행위인 ‘식습관’에 깊숙이 침투하여 건강과 행복을 위협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기쁨, 슬픔, 불안, 분노 등 강렬한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는 사람들은 종종 의식적인 영양 섭취 계획을 망각하고, 그 순간의 감정을 달래기 위한 충동적인 식사 선택을 … 더 읽기

서버 CPU는 낮은데 지연이 심할 때: ENA 네트워크 드라이버 버그 사례

서버의 CPU 사용률은 낮은데도 불구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지연 시간(Latency)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현상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매우 까다로운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서버 자원의 문제가 아닌, 주로 네트워크 스택 또는 드라이버 레벨에서 발생하는 병목 현상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AWS 환경에서는 특히 ENA(Elastic Network Adapter) 네트워크 드라이버의 특정 버그나 설정 문제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 더 읽기

CodeDeploy 중 배포 실패 (AppSpec.yml 오류, 권한 누락) 트러블슈팅

AWS CodeDeploy 배포 실패는 주로 AppSpec.yml 파일의 구문 및 논리 오류 또는 IAM 역할의 권한 누락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실패의 원인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CodeDeploy가 제공하는 상세한 로그와 배포 생애 주기(Lifecycle Event)의 특정 실패 지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CodeDeploy 배포 실패 원인 TOP 5 (발생 비율 기준) 순위 원인 비율 주요 증상 1 AppSpec.yml 구문/논리 … 더 읽기

VPN 없이 안전하게 EC2 접속하는 방법: Session Manager 활용법

서론: SSH 포트 개방의 보안 위험성 — “22번 포트는 해커의 초대장” 전통적으로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SSH(Secure Shell)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이를 위해 인스턴스의 보안 그룹에서 TCP 22번 포트를 개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SSH 포트를 개방하는 것은 잠재적인 공격 표면(Attack Surface)을 넓히며, 특히 0.0.0.0/0과 같이 광범위한 IP 대역을 허용할 경우 보안 위험이 매우 높아집니다. VPN(Virtual … 더 읽기